여성어업인의 11개 질병 관리, 사후관리 상담교육 시행


퇴행성 요추질병 / 무릎골관절염 / 손골관절염 / 수근관증후군 / 외상과염 / 회전근개질환 / 골다공증성 골절
고지혈증 / 당뇨 / 고혈압 / 난청





검진 프로그램 소개

여성어업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11개 질환을 집중적으로 관리합니다.

여성어업인 중 약 60%의 어업인들이 6개의 근골격계 질환 중 1개 이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또한 폐경이후 골다공증, 고지혈증, 당뇨, 고혈압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건강한 관절을 위한 근골격계 검진

근골격계 검진은 여성 어업인에게 가장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손, 요추, 무릎 관절의 퇴행성 변화의 수준을 파악하고, 악화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안내하여, 관절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폐경기 후 건강변화를 모니터링

폐경기 후 여성은 여성호르몬 분비의 중단으로 골밀도의 감소와 이상지질혈증의 발생, 근육량 감소 등의 변화를 겪게 됩니다. 여성어업인의 골밀도, 혈중지질, 당화혈색소, 혈압, 근육량의 변화를 측정하고 건강상담을 제공합니다.

난청 위험평가

50세 이후 청력은 점진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시기에 소음에 노출되면 더 빠르게 난청이 진행되며 어작업에 사용되는 각종 원동기는 높은 강도의 소음을 발생시킵니다. 본 검진에서는 청력을 평가하고 청력을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검진 절차 안내


검진은 아래와 같은 절차에 따라 진행되며 약 3시간이 소요됩니다. 검진기관의 상황에 따라 검진기간이 다소 길어지거나 순서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검사는 공복에 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간단한 식사 후에도 가능합니다.  다만, 국민건강검진과 여성어업인 특화건강검진을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는 공복 후 검사를 해야 합니다.

1. 검진동의서 작성

여성어업인 특화건강검진에 대한 설명서를 읽고 동의서를 작성합니다. 그리고 사후관리와 연구활용을 위한 개인정보이용에 관한 동의서에 서명합니다.

2. 문진표 작성

건강문제를 확인하기 위한 설문지를 작성합니다. 설문은 근골격계증상, 골절위험, 뇌심혈관계 위험요인, 난청증상을 묻는 질문으로 구성됩니다.

3. 혈액검사

당화혈색소, LDL콜레스테롤을 확인하기 위해 혈액검사를 시행합니다.
*국민건강검진을 함께 시행한다면 8시간 공복을 지켜야 합니다.

4. 방사선 촬영

방사선 촬영은 주요 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무릎, 요추, 손을 각각 촬영합니다.

5. 골밀도 검사

골다공증을 진단하고, 골절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요추와 대퇴관절의 골밀도를 측정합니다. 이와 함께 인바디로 근육량을 확인하여 뼈와 근육의 종합적인 상태를 판단합니다.

6. 의사 진찰

검사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하고, 검진대상자에 대한 질문와 신체검사를 통해 최종적인 판단을 내리는 과정입니다.

7. 예방 상담

확인된 건강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개인별로 상담을 합니다.

위험요소를 확인하고, 개선방법을 찾고, 간단한 실습을 진행합니다. 아래 실습형 예방교육을 살펴보세요.

검진 절차 안내

검진은 아래와 같은 절차에 따라 진행되며 약 3시간이 소요됩니다.

검진기관의 상황에 따라 검진기간이 다소 길어지거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공복 후 검사를 하는 것이 좋지만, 간단한 식사를 하고 나서도 검진을 시행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다만 국민건강검진과 여성어업인 특화건강검진을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는 공복 후 검사를 해야 합니다.

-

1. 검진동의서 작성

여성어업인 특화건강검진에 대한 설명서를 읽고 동의서를 작성합니다. 그리고 사후관리와 연구활용을 위한 개인정보이용에 관한 동의서에 서명합니다. 

2. 문진표 작성

건강검진을 시작하기 전 건강문제를 확인하기 위한 설문지를 작성합니다. 설문은 근골격계증상, 골절위험, 뇌심혈관계 위험요인, 난청증상을 묻는 질문으로 구성됩니다.  

3. 혈액검사

당화혈색소, LDL콜레스테롤을 확인하기 위해 혈액검사를 시행합니다. 본 혈액검사를 위해서는 반드시 공복을 지켜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국민건강검진을 함께 시행한다면 8시간 공복을 지켜야 합니다.

4. 방사선 촬영

방사선 촬영은 주요 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무릎, 요추, 손을 각각 촬영합니다.

5. 골밀도 검사

골다공증을 진단하고, 골절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요추와 대퇴관절의 골밀도를 측정합니다. 이와 함께 인바디로 근육량을 확인하여 뼈와 근육의 종합적인 상태를 판단합니다.

6. 의사 진찰

의사진찰을 검사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하고, 검진대상자에 대한 질문와 신체검사를 통해 최종적인 판단을 내리는 과정입니다. 

7. 예방상담

확인된 건강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개인별로 상담을 합니다. 위험요소를 확인하고, 개선방법을 찾고, 간단한 실습을 진행합니다. 아래 실습형 예방교육을 살펴보세요.

실습형 예방교육

건강검진을 통해 건강상의 문제가 발견되거나 위험징후가 있을 경우, 이를 예방하기 위한 기본적인 방법에 대한 실습형 예방교육이 제공됩니다. 예방상담 프로그램은 위험요인을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Tel. 062-714-3971 / Fax. 0508-945-6990 / fhealthcsu@gmail.com
Addr.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62, 조선대학교병원 의성관 1118호 (61453)